정보바다78 안경사 국가고시 크로스실린더 굴절검사 문제풀이 안경사 국가고시 크로스실린더 굴절검사 문제풀이 입니다. Q. OD: S+2.00D = C+0.50D Ax 90’의 시험렌즈를 착용한 다음 +-0.25D 크로스실린더렌즈의 (-)축을 180’ 방향으로 겹쳐서 착용하였더니 완전교정 되었다.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조절하지 않은 상태이다.) 1. 원시성 복성 도난시인 눈이다 2. 눈의 강주경선은 타보(TABO)각 180’이다 3. 완전교정렌즈의 수평경선 굴절력은 +2.00D이다. 4. 완전교정렌즈의 수직경선 굴절력은 +1.75D이다. 5. 나안으로 방사선시표를 보면 수직방향이 진하게 보인다. 풀이 1) 원시성 복성 도난시 풀이>강주경선이 90도에 있어서 직난시이다. 2) 눈의 강주경선 타보각은 180도이다. 풀이> 눈에서 강주경선은 90도이다. 60D-2.. 2021. 10. 28. 내 시력은 마이너스? 플러스?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학창시절,성인이 되고 나서 1년에 한번씩 안과 또는 안경원에서 시력 검사를 합니다. 주변사람들에게 시력이 몇이야?라고 물어보면, 나는 -1.25야 라고 대답합니다. 젊을 때는 흔히 시력에 대해 관심이 없어서 정확히 아는 사람이 적습니다. 숫자앞에 -,+부호에 대해 해석해 보겠습니다. -는 오목렌즈의 부호표기이고, +는 볼록렌즈의 부호표기입니다. 그래서 표기를 (-)렌즈,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근시의 경우에는 원거리가 흐려보이고, 근거리가 잘 보이므로 (-)렌즈로 교정을 합니다. 원시의 경우에는 원거리가 잘 보이고, 근거리가 흐려보이므로 (+)렌즈로 교정을 합니다. 우리나라 학업열이 높고, 가까운 거리에서 전자기기를 보는 빈도가 높아서 전체 비율중에 .. 2021. 10. 18. 안경사 기하광학 전반사 임계각 겉보기상 평행평면판 안경사 기하광학의 전반사, 임계각, 겉보기상, 평행평면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 평면에서 빛의 굴절과 상의 위치 1) 매질에 크기에 따른 입사각과 굴절각 ㉮ n(굴절률이 작은 매질)에서 n'(굴절률이 큰 매질)로 빛이 입사하면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작다. ㉯ n'(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n(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빛이 입사하면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크다. 2)전반사와 임계각 ㉮ 임계각 광선이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작은 매질로 입사할때 굴절각은 입사각보다 크다. 굴절각이 90º이 되는 입사각 i을 임계각이라고 한다. i_c로 표기한다. ㉯ 임계각 계산 nsini=n'sini' nsini_c=n'sin90º sini_c=n'/n 임계각i_c=sin^-1(n'/n) 공기일때= sini_c=1/n 물속에서 공.. 2021. 10. 13. 안경사 기하광학 광선역행, 페르마, 마류우, 호이겐스 원리 및 정리 안경사 기하광학의 광선역행, 페르마, 마류우, 호에겐스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기하 광학의 원리 및 기초정리 ㉮ 광선역행의 원리 임의의 광선이 반사 혹은 굴절하여 진행해 간다. 진로를 반대로 하면 진행해온 경로를 따라 되돌아 진행한다. 가역성을 띄고 있다. ㉯ 페르마의 원리 빛은 한 점으로부터 또 다른 한점으로 진행해 갈때 소용시간이 가장 적은 경로를 택한다. 동일한 매질 내에서는 직진한다. 최소시간의 경로이다. ㉰ 마류우의 정리 동일 매질 내의 점광원에서 출발한 광선은 같은 시간 안에 그 점광원을 중심점으로 하는 같은 구면상에 도달한다. 즉, 구면의 형상으로 전파되는 파면을 가진다. 광선속의 파면상의 각 점에서 파면과 직교하게 된다. 점광원에서 출발한 광선속과 같이 전체 광선이 구면과 직교하.. 2021. 10. 11. 안경사 기하광학 굴절의법칙,스넬의법칙,절대굴절률,상대굴절률 안경사 기하광학의 굴절의 법칙, 스넬의 법칙, 절대 굴절률, 상대굴절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평면에서 빛의 굴절 1)용어 ㉮ 굴절: 광선이 서로다른 매질의 경계면을 지날때, 진행방향이 바뀌는 현상이다. ㉯ 법선: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세운 수직선(기준선)이다.(NN') ㉰ 입사광선: 두 매질의 경계면에 들어가는 광선(AP)이다. ㉱ 굴절광선: 두 매질의 경계면을 지나고 방향이 바뀌는 광선(PA')이다. ㉲ 입사각: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법선(NN')과 입사광선(AP)이 이루는 각(i)이다. ㉳ 굴절각: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법선(NN')과 굴절광선(PA')이 이루는 각(i')이다. 그림 해석: 굴절률 n 2021. 10. 11. 안경사 기하광학 평면거울에 의한 상 안경사 기하광학 평면거울에 의한 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 평면 거울에 의한 상 ㉮ 1매의 평면거울 상의 위치: A(물체), A'(상)은 거울면을 기준으로 대칭이다. 상의 종류: 정립허상이다. 상의크기: 물체의 크기와 같다. 횡배율(물체 공간와 상공간의 물체크기 비율): M_B= y'/y=+1 ㉯ 2매의 평면거울 상의 갯수 공식: 360º/2매의 평면거울이 이루는 각)=n n이 짝수: n-1 n이 홀수: n n이 소수: 정수 ㉰ 평면거울 이동에 따른 상의 움직임 평면거울을 거리 s만큼 수직이동할때 상의 변화량은 s의 2배가 된다. 즉, 평면거울의 이동량×2=상의변화량 이다. ㉱ 평면거울 회전에 따른 상의 움직임 평면거울이 각 a만큼 회전할때 상의 변화각은 2a이 된다. 즉, 평면거울의 회전각a×2 .. 2021. 10. 10. 안경사 기하광학 빛의 반사와 굴절 안경사 기하광학 빛의 반사와 굴절에 알아보겠습니다. 1. 빛의 반사와 굴절 1) 투과와 반사, 굴절 ㉮ 투과: 빛이 어느 물체를 지나가는 것이다. ㉯ 반사: 어느 물체 표면에서 부딪쳐서 튕겨 나가는 현상이다. ㉰ 굴절: 서로 다른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광선의 진행방향이 바꿔지는 현상이다. 2) 빛의 반사율과 투과율 ㉮ 반사율(R): 물체에 입사하는 빛의 광량중 반사하는 빛의 비율이다. ㉯ 투과율(T): 물체에 입사하는 빛의 광량중 제2매질로 들어오는 빛의 비율이다. ㉰ 반사율과 투과율의 관계: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 반사율과 투과율의 합은 1(100%)이다. 3) 굴절률n1, n2 매질에서의 반사율 계산 굴절률 n1인 매질속에서 굴절률n2으로 반사체 표면에 수직하게 입사할 때 빛의 반사율은 최소가 된다... 2021. 10. 10. 안경사 기하광학 빛의 전파, 광학적거리, 축소거리, 버전스 안경사 기하광학의 빛의 전파, 광학적거리, 축소거리, 버전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1장 빛의 전파 1, 빛의 직진(기하광학의 입장) 1) 빛과 물질 ㉮ 발광의 유무에 따라 발광체와 비발광체로 구분된다. 발광체: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이다. 비발광체: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물체이다. ㉯ 광원: 발광체, 비발광체에 관계없이 관측점으로 빛을 내는 것이다.(관측자에게 빛을 보냄) 점광원: 한없이 작은 광원이다.(점광원이 모여 광원이 된다.) 광선: 빛이 지나는 경로를 수학적인 선으로 나타낸것이다. 광선속(광속): 광선들의 집합 2) 빛의 성질 ㉮ 빛은 같은 등방성매질 속에서 직진한다. 등방성 매질: 밀도가 일정하고, 동질의 매질이다. 2. 부호규약 1) 광선은 왼쪽으로부터 굴절면 또는 반사면에 입사하는 .. 2021. 10. 9.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